안녕하십니까, 네모네모 큐브전기입니다.
오늘은 1 선당 공급전력 및 소요전선비(=전선중량비, 전력손실비)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 개념은 전기기사 필기에 있어서 약간 어려운 난이도에 해당됩니다.
모든 유도과정을 익히기는 어려우니, 굵직굵직한 줄기를 이해하고 최종적인 값을 암기하는 것을 목표로 합시다.
1 선당 공급전력 ( 배전선로일 때 )
1 선당 공급전력을 구하기 전에는 전체 공급전력을 식으로 나타내어야 합니다.
문제에서 아무 말도 없을 경우 배전선로를 기본값으로 상정하시면 됩니다.
먼저, 왼쪽 세로줄에 차례로 단상2선식, 단상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을 써줍니다.
각 방식에서의 총 공급전력은 각각 EI, 2EI, root(3)EI, 3EI입니다.
여기서 E는 상전압이 아니라 선간전압을 의미합니다.
1선당 공급전력은 이 EI, 2EI, root(3)EI, 3EI을 선의 개수로 나눈 값입니다.
단상2선식, 단상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의 선의 개수가 2개, 3개, 3개, 4개이므로
각각 2,3,3,4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1/2)EI, (2/3)EI, (1/root(3))EI, (3/4)EI 이렇게 되는 것이지요.
1 선당 공급전력은 통암기 하기보다
적절히 유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생각합니다.
선의 개수는 별도로 암기하지 않아도 머릿속으로 떠올릴 수 있고,
총 공급전력의 계수가(=비율이) 1:2:root(3):3인 것만 알고 있으면 되기 때문입니다.
1선당 공급전력 ( 송전선로일 때 )
송전선로일 때는 단상2선식, 단상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
각 방식에서의 총 공급전력이 각각 EI, EI, root(3)EI, root(3)EI입니다.
총 공급전력의 계수가(=비율이) 1: 1: root(3): root(3)인 것입니다.
배전선로일 때와 송전선로일 때 이 값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배전선로일 때의 E는 선간전압이고
송전선로일 때의 E는 상전압이기 때문입니다.
선의 개수가 각각 2개, 3개, 3개, 4개인 것은
배전선로에서나 송전선로에서나 동일합니다.
즉, 송전선로일 때 1 선당 공급전력은
(1/2)EI, (1/3)EI, (1/root(3))EI, (root(3)/4)EI 입니다.
소요전선비 (=전선중량비, 전선무게비, 전선총량비, 전력손실비)
마지막으로 알아볼 것은 소요전선비입니다.
소요전선비를 정의하는 조건은
"송전전력, 선간전압, 부하역률, 전력손실, 송전거리가 동일할 때"입니다.
동일한 전선, 동일한 크기의 전력, 동일한 선간전압, 동일한 송전거리, 동일한 역률조건 하에서
단지 단상2선식, 단상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 중에 어떤 방식을 채택할 것인가에 따라서
소요되는 전선이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한 것입니다.
단상2선식, 단상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의 소요전선비는
24: 9: 18: 8입니다.
이 것을 유도하는 과정은 꽤 길고 복잡하기에 생략합니다.
이사를 하기 위해 이사차를 구매해서 짐을 옮기려고 한 직원이 있었다고 생각해 봅니다.
그런데 이사차가 이미 다 팔려서 매진되어 버려 화가 난 상황입니다.
"24 차 9합니다. 18! 8렸대요!"
이렇게 외우면 24: 9: 18: 8
이 비율을 쉽게 외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단상2선식을 100%로 두고 나머지를 비교하라는 문제이므로
100%, 9/24=37.5%, 75%, 33.3% 임을 눈에 익혀두면 좋겠습니다.
네 오늘은
단상2선식, 단상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에서의
1선당 공급전력, 소요전선비, 전선중량비, 전력손실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수고 많으셨습니다!
노력하시는 일에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합니다!
큐브전기 올림.